연애 결혼

결혼식에서 마이크 사용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라토가:) 2025. 6. 13. 13:39

결혼식 준비하면서 마이크 얘기는 정말 끝까지 안 나오는 항목 중 하나예요. 드레스, 예식장, 식순, 꽃장식 이런 건 하루에도 몇 번씩 이야기하는데, 막상 “마이크는 어떻게 해요?”라는 질문은 결혼식 거의 다가와서야 문득 생각나요ㅋㅋ 저도 신부 입장 연습하면서야 알았어요. ‘어? 사회자 마이크는 뭐지? 축가 마이크는 어디서 나오는 거지?’ 이런 거요. 그런데 이게 은근히 중요한 포인트예요. 마이크 하나로 분위기가 달라질 수도 있고, 하객들이 잘 들었는지 못 들었는지도 여기서 갈려요. 그래서 오늘은 결혼식에서 마이크 사용,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찬찬히 알려드릴게요. 놓치면 은근히 당황하는 부분이라서 꼭 체크해야 해요!

1. 마이크 종류부터 알고 있어야 해요

  • 무선 마이크 vs 유선 마이크
    요즘 대부분 무선 마이크를 많이 써요. 움직이기도 편하고 깔끔해 보이니까요. 그런데 유선 마이크도 여전히 쓰는 곳이 많아요. 특히 호텔이나 구식 예식장은 유선 마이크 하나 달랑 주는 경우도 있어요.
    무선이면 배터리 체크, 유선이면 선 길이 체크는 필수! 예식 중간에 마이크 꺼지면 진짜 멘붕이에요.
  • 핀 마이크 사용 여부 확인하기
    사회자나 주례자가 핀 마이크를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현장 리허설 때 꼭 확인해야 해요. 핀 마이크가 있다고 다 잘 들리는 건 아니거든요. 입에서 너무 멀거나, 마이크 켜는 걸 잊으면 허공에 대고 말하는 꼴 되니까요.
    혹시 예식장에 마이크 종류 미리 물어보셨나요?

2. 사회자 마이크는 누가 준비하나요?

  • 예식장 제공 여부 꼭 체크하기
    보통은 웨딩홀이나 호텔에서 사회자용 마이크는 기본 제공해요. 근데 드물게, 대관만 해주는 곳이나 스몰웨딩장은 본인 준비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
    제가 한 번 마이크가 안 나와서 사회자가 처음에 소리 지르면서 시작했던 기억이 있는데… 진짜 민망했어요ㅠ
  • 스피커와 연결 상태 사전 점검하기
    마이크만 있으면 뭐하겠어요. 소리가 스피커로 안 나가면 아무 소용 없죠. 마이크를 쥐고 있는데 볼륨이 너무 작거나 울려버리면 하객들도 힘들어요. 예식 전 리허설 때 꼭 “마이크 테스트” 해보세요. 안 그러면 당일에 깜짝 놀라요.

3. 축가, 편지 낭독할 때 마이크 위치도 중요해요

  • 스탠드 마이크 준비 여부 확인
    축가 부를 때 마이크를 손으로 들고 부르려면 불편해요. 특히 기타나 악기 연주까지 있다면 스탠드 마이크는 필수예요. 그런데 예식장에서 안 챙겨주는 경우도 꽤 많아서, 사전에 “스탠드 있나요?” 꼭 물어보셔야 해요.
  • 낭독할 땐 마이크 높이 조절 미리 하기
    신랑신부가 직접 편지 낭독하거나 감사 인사할 때, 마이크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말하기가 엄청 불편해요. 높이 안 맞아서 마이크에 입 갖다 대려다 머리 숙이고 읽게 되는 상황… 사진도 어색하게 나와요.
    혹시 여러분도 낭독 계획 있으세요? 그럼 리허설 때 마이크 높이 조절까지 해보는 게 좋아요.

4. 하울링 방지, 위치 조절이 핵심이에요

  • 스피커 앞에 서지 않기
    하울링은 스피커에서 나온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들어가면서 발생하는데요, 스피커 방향이랑 마이크 위치가 겹치면 확! 소리 찢어져요. 그날 제 예식에서도 친구 축가하다가 ‘끼이이익!’ 했는데, 다들 깜짝 놀라고 민망했어요ㅠㅠ
  • 마이크 볼륨은 ‘적당히’로 설정
    너무 작으면 안 들리고, 너무 크면 울려요. 마이크 들고 무조건 크게 말한다고 좋은 것도 아니고, 작게 얘기한다고 괜찮은 것도 아니에요. 음향 담당자랑 같이 테스트해서 “이 정도면 괜찮다” 싶을 때까지 볼륨 맞추는 게 좋아요.

5. 마이크 넘길 타이밍, 사전에 맞춰두기

  • 사회자, 축가자, 신랑신부 누구에게 어떻게 넘기는지 정리
    사회자가 계속 쥐고 있다가 축가자가 무대 올라왔는데 마이크가 없으면? 순간 멈칫하게 돼요. 마이크는 누가 언제 넘기고, 어떤 타이밍에 어디에 둘지 사전에 정해두는 게 좋아요.
  • 대기 중 마이크 위치 확인하기
    대기 중 마이크가 어디 놓여 있는지도 알아야 해요. 무대 옆, 테이블 위, 혹은 사회자가 들고 있는 건지. 그래야 무대 올라가서 “어… 마이크 어디 있지?” 하면서 멀뚱멀뚱 서 있지 않아요.
    혹시 축가나 편지 낭독하실 계획이면 마이크 위치까지 신경 쓰고 계신가요?

6. 백업 마이크, 하나쯤 더 준비하면 안심이에요

  • 예식장에 마이크 2개 이상 있는지 확인
    하나 고장 나면 바로 대체할 수 있어야 해요. 백업이 없으면 소리 안 나오는 동안 분위기 흐트러지고 진행 끊기거든요. 마이크 2개 이상 준비되어 있는지 미리 물어보세요.
  • 배터리 예비용도 체크
    무선 마이크면 배터리가 생명이에요. 오래된 배터리는 중간에 갑자기 꺼질 수도 있어요. 저희 예식 땐 사회자 마이크가 중간에 끊겨서, 제 친구가 옆에서 자기 핸드폰 들고 대신 마이크처럼 들고 있었다니까요ㅋㅋ 그만큼 예비 배터리 챙겨야 해요!

결혼식 당일, 마이크는 조용히 예식을 지탱하는 조연이에요. 누가 봐도 신경 안 쓴 것 같지만, 마이크가 엉망이면 예식 전체가 엉성하게 느껴져요. 반대로, 마이크만 깔끔하게 준비돼도 진행이 훨씬 매끄럽고 프로페셔널하게 보여요. 음향은 눈에 안 보이는 요소지만, 귀에 꽂히는 만큼 인상에 강하게 남거든요. 예식 리허설 할 때 꼭 마이크 테스트하고, 볼륨 조절과 넘기는 타이밍까지 체크해보세요. 그리고 혹시라도 준비가 안 된 상황이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이 정도쯤은 괜찮아~” 하는 여유도 함께 챙기시길 바래요. 결국 가장 중요한 건 여러분 목소리가 잘 들리는 거니까요!